본문 바로가기

CONTENTS357

Girl's Room with Cranes lakbdesign/fergusanme 11살 여자아이의 방이라고 한다. 벽의 jamaican blue 페인트와 polar bear oilcloth가 가슴 속까지 시원하게 해주는 내가 좋아하는 색이다. 학을 오리가미해서 천장에 붙인 창의력 있는 아이디어도 이 방 주인의 아이디어란다. Hanging chair도 멋있지요? 영국의 habitat이라는 중고품 상점에서 샀다고 하네요. 창문의 몰딩과 셔터가 오래된 집의 느낌을 나게 하지요. 집은 1960년대에 지은 집이지만 Williamsburg, VA 시대의 집을 흉내 내서 지은 집이랍니다. 판에 박은 듯하지 않고 누군가의 창의력이 돋보이는 데코레이션이나 환경은 언제 보아도 눈이 즐겁다. 그리고 색의 적절한 조화는 가슴도 뛰게 한다. 그것도 비싼 새 가구 세트.. 2010. 6. 20.
어린이의 TV 시청, 얼마나 해로운가? 3 TV가 아이의 언어 발달 그리고 두뇌 발달로 이어지는 연관성을 무시 하기엔 우리의 자녀가 매우 소중합니다. 특히 두 살 미만의 신생아와 영아는 텔레비전에 노출시키지 마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엄마 대신 다른 사람이 아이를 돌보아할 때도 이것만은 지켜주길 당부하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하겠지요. 집 안에 탤레비전이 켜 있는 경우 어린아이는 소리를 내지 않거나 아이를 돌보는 사람은 말의 수가 줄고 그리고 대화의 소통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워싱턴 의대의 소아과 교수이자 아동 건강 행동 발달 센터의 원장인 디미트리 크리스테키스는 이렇게  말한다 . “ 신생아의 탤레비전 노출이 언어의 지연과 주의력 문제와 연관이 있다는 것을 알고 있지만, 지금까지는 왜 그런지는 불분명했습니다.”  “이번 연구가 처음으로 탤레.. 2010. 6. 17.
Kite Flying (연 날리기) 하루에 4계절이 다 들어 있다는 이곳의 예측하기 어려운 날씨에 적응이 쉽지 않다. 여름에도 난데없이 쏟아지는 우박도 그렇거니와, 엄청난 속도의 바람 또한 내 간담을 서늘하게 하기도 한다. 이런 날은 으레 집 안에 있게 마련이다. 이날도 여지없이 세차게 불어대는 바람을 맞고 떠밀리다 시피하여 잠시 우편물을 찾으러 갔다 오면서 보니 집 앞 들판에서 연날리기가 한참이다. 이웃집에 연날리기를 좋아하는 페츄릭 아저씨가 이웃집 아이들과 함께 연을 날리는 모습을 보고 놓칠세라 카메라를 들고 나도 합세해서 이들의 모습을 담았다. 오색찬란한 연이 창공을 찌르며 높이 힘차게 떠있는 모습은 내가 아무리 싫어해도 바람이 매섭게 부는 이런 날이 연 날리기에 최고의 날임을 말해준다. 아이들이 들판을 이리로 저리로 뛰며 소리를 지.. 2010. 6. 16.
엄마 표 영어 교육 2 모든 상황과 현상에는 예외가 있게 마련이다. 언어습득도 각 개인이 타고난 재능이라는 변수를 무시 못한다. 그렇다고 모국어든 외국어든 언어 숙달에 적용되는 일반적인 방법론마저 무시해서는 안 된다. 그럼에도, 우리는 내가 배워온 방식에 매여 효과가 없는 줄 알면서도 같은 방법 전수를 고집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제는 이런 언어 배우기의 기본적인 원칙을 무시하고 단시일 내에 소위 ‘정복’하는 식의 개념이나 인식에서 벗어나야, 좀 더 현실적이고 효율적인 방안이 생긴다고 본다. 먼저 집에서 아이들의 영어 교육을 하고 싶어하는 부모는 영어라는 언어의 특성을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영어의 특성 처음 배워야 할 것이 많지 않을 때는 쉬어 보이고 해낼 수 있는 것 같은 착각이 드는 것이 영어라는 언어다. 하지만, 점점.. 2010. 6. 11.
The Robin Family 어느 날 집을 나서며 우연히 바깥 현관 처마 밑을 올려다보니 기둥 위에 지푸라기를 비롯해 얇은 나뭇가지를 모아 다부지게 만들어 놓은 새 둥지를 보게 되었다. 그 후 두 주 이상 엄마 새가 이 둥지 위에 자나깨나 앉아 있음을 본다. 알을 품고 있어 보인다. 이때부터 내 상상력은 가동하기 시작하고 이들의 삶을 당분간 추적하게 되었다. 하필 우리 집에서 둥지를 짓고 번식하기로 한 이들이 우리의 가족이라도 된 듯 느껴지는 설명하기 어려운 기분도 한몫했다. 한동안 알을 품고 앉아 있을 때는 푹 주저앉은 모습 때문에 이 새의 정체를 금방 알 수가 없었다. 그러나 곧 가슴의 오렌지 색이 드러나면서 American Robin임을 알게 되었다. 그런데 저 새 둥지가 저렇게 높지만 않아도 하는 생각이 간절하다. 로빈의 알.. 2010. 6. 10.